SpringBoot

·TIL 📔
🐥 마이바티스, 인터셉터, 빈스코프 27강 (18강-26강 SKIP) 1️⃣ 인터셉터를 활용한 관리자 페이지 만들기 (스프링 시큐리티를 통해서도 가능) ① 관리자용 html 파일 생성 및 Controller 생성 ② 관리자인지 확인하는 인터셉터 생성 @Component @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NeedToAdminInterceptor implements HandlerInterceptor { private final Rq rq; @Override public boolean preHandle(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, Object handler) throws Exception { if (r..
·TIL 📔
🐥 마이바티스, 인터셉터, 빈스코프 10강 ~ 13강 1️⃣ 인터셉터 도입 (스프링 시큐리티를 대신하는 역할 수행) ➡️ Controller 앞 단에서 작동한다는 점에서 스프링 시큐리티와 유사하지만 보안에 집중된 시큐리티와 달리 범용적으로 쓰인다.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한다고 생가하면 된다. (보안, 렌더링 등) ➡️ ex) 은행에서의 청원경찰 같은 역할로 복면을 쓴 강도라면 은행원(= Controller) 이 업무를 보기 전 제압 가능하므로 은행원에게 이 부분에 대한 메뉴얼이 없어도 됨. [인터셉터 1]&[인터셉터 2]& ... [인터셉터 N] ➡️ Controller ➡️ Service ➡️ Repository ① 인터셉터 생성 @Component @Slf4j //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yml..
·Spring Boot 🌿
🌟 공부하게 된 계기 QNA 프로젝트를 공부하면서 DTO 를 많이 활용해보려고 하는데, 답변 저장 과정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DTO 형태로 저장하는 것 까지는 저번에 정리한 Entity 를 DTO 형태로 바꾸는 것과 비슷하게 할 수 있었다. 그런데 AnswerRepository 로 save 를 수행하려면 인자가 되는 객체가 Answer 이어야하는데 형태 데이터 객체는 DTO 였다. 물론 귀찮게 Answer 객체를 생성 후 하나하나 담아서 만들어낼 수 있겠지만 분명히 방법이 있겠지라고 생각하였다. 검색창에 "Spring DTO to Entity" 라고 검색을 하니 ModelMapper 를 통한 방식이 나와있었다. 해당 방법은 저번에 Entity to DTO 를 하면서도 궁금했던 방식이라 과정을 정리해보기로..
·Spring Boot 🌿
🌟 공부하게 된 계기 Spring 의존성 주입에 대해서 @Autowired 와 생성자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Setter 방법도 있다고 해서 각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고, 어떤 방식이 효율적인지도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. 1️⃣ Field Injection : @Autowired 속성 (의존성 주입 시점 : 런타임) 속성에 @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적용하여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@Controller public classs InjectionController { @Autowired private InjectionService injectionService; } 2️⃣ 생성자 (의존성 주입 시점 : 객체 생성) (권장) 생성자를 작성하여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 @Controller public classs..
·Spring Boot 🌿
*목표* - http://localhost:8080/saveSessionAge/(나이 입력) 호출시 세션에 입력한 나이가 저장됨 - http://localhost:8080/getSessionAge 호출시 세션에 저장된 나이가 출력 ✔️ Session 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 1️⃣ HttpServletRequest 활용 @RequestMapping("/saveSessionAge/{age}") @ResponseBody public String showSaveSessionAge (@PathVariable Integer age, HttpServletRequest req) { HttpSession session = req.getSession(); session.setAttribute("age", age); ret..
·Spring Boot 🌿
개발을 하면서 가장 귀찮은 순간을 뽑으라고 하면 코드 수정 후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매번 서버를 재실행 할 때 일 것 입니다..!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간단한 의존성 주입으로 재실행 없이 확인 가능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! 프로젝트 생성 과정에서 의존성 주입 의존성 주입을 과정에서 Spring Boot DevTools 를 추가해 줍니다. 혹시 프로젝트를 이미 생성했다면..? Gradle 프로젝트 기준으로는 bulid.gradle 파일, Maven 프로젝트 기준으로는 pom.xml 에 직접 의존성을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! bulid.gradle (오른쪽 상단에 gradle reload 꼭 해주세요!) developmentOnly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..
Doit_Young
'SpringBoot' 태그의 글 목록